김희강 (Hee Kang Kim) ,金希剛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2-3290-2273
- 연구분야
- 공공철학(사회정의, 글로벌정의), 규범적 정책분석, 돌봄국가와 돌봄윤리, 여성주의 이론과 정책, 이주/이민
- 사무실
- 정경관 324호
- Degree
- University of Chicago, 정치학 박사
- 홈페이지
- http://faculty.korea.ac.kr/heekangkim
- 이메일
- heekangkim@korea.ac.kr
학력
-
2005. 8 Ph. D.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박사논문: “Women’s Luck? Women’s Choice? Toward a Feminist Theory of Equality 지도교수: Iris Marion Young(Chair), Martha Nussbaum, Jacob Levy 1999. 6 M. A.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1996. 2 B. A. Political Science & International Relations. Ewha Women’s University
경력 및 수상
-
<주요 경력> 2018.3 -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교수 2013.3 – 2018.2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부교수 2013.2 – 2015.1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도시및지방 행정학과 주임교수 2009.3 – 2013.2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조교수 2005.12 – 2009.2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교수 2003, 2005 강사. University of Chicago <교내활동> 양성평등센터 운영위원회 위원(2017.9-) 정경대학 고시위원회 고시동 간사교수(2017.3-2018.2) 정경대학 국제화위원회 위원(2017.8-) 교양교육커리큘럼 개선위원회 TFT위원(2014.3-2015.2) 양성평등센터 위촉조사위원(2013.3-2013.5, 2018.3-2018.6) 양성평등제도개선 TFT위원장(2013.5-2013.7) <교외활동> 『담론201』 공동편집위원장, 부편집장(2013.1-2016.8)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2017.1-) 『정치사상연구』 편집위원(2012.7-) 『사회과학연구』 편집위원(2015.3-2017.2) 『한국정치학회보』 편집위원(2011.1-2011.12) 한국행정학회 교육취업이사(2017.1-2017.12) 한국행정학회 여성특별위원회 위원(2014.1-2014.12) 한국행정학회 사회형평성특별위원회 위원(2015.1-2015.12) 한국정책학회 여성정책특별위원회 이사(2015.1-2015.12) 한국행정이론학회 총무위원장(2014.9-2015.10) 한국정치학회 연구위원회 위원(2015.1-2015.12, 2007.1-2007.12) 한국정치학회 이론방법론분과위원(2010.1-2010.12) 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위원회 연구간사(2011.7-2013.6) 한국정치사상학회 편집위원회 편집간사(2010.1-2010.12) 한국국제정치학회 여성분과위원회 위원(2011.1-2011.12) 한국세계지역학회 대외협력이사(2015.1-2015.12) <국제활동> Care Ethics Research Consortium Steering member (2017.6-) Asian Studies Association member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member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member <수상 및 연구비수주> 2017 저서 『한국의 다문화주의 비판』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7 저서 『규범적 정책분석』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6 진리장학금 프로그램 책임자, 차세대 연구자를 위한 정부론 심화연구 프로그램, 고려대학교 2015 Korea Journal Award, Best Article Award in Social Sciences, Korea Journa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Oct. 16th) “Revisi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Voting Rights of Overseas Koreas.” 2014-16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성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와 글로벌 재생산분업,” 책임연구자, 2년 4,000만원. 2013 1, 2 학기, 우수강의상, 고려대학교 2012 1, 2 학기, 우수강의상, 고려대학교 2011 2학기, 석탑강의상, 고려대학교 2011-13 한국연구재단 신임연구자지원사업. “성별화된 이주와 글로벌 정의.” 책임연구자, 2년 2,980만원. 2010 1학기, 우수강의상, 고려대학교 2008 우암 학술상(사회과학 논문 부문), 한국아메리카학회 2004-05 Dissertation Teaching and Research Fellowship, University of Chicago 2004 Dissertation Grant in Women's Studies, Woodrow Wilson National Fellowship Foundation 2004-05 Center for Gender Studies Office Fellowship, Center for Gender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2004 Doolittle-Harrison Fellowship, University of Chicago 2003-04 Grodzins Lectureship Prize, University of Chicago 2002-03 Center for Gender Studies Office Fellowship, Center for Gender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2002-03 Korean Honor Scholarship, 한국주미대사관 1999-01 Graduate Fellowship, University of Chicago 1999-00 Residential Fellowship, International Hous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6 우등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1995-96 우등 장학금, 이화여자대학교 1995 Excellent Junior Student, 이화여자대학교
학부,대학원 담당과목
-
공공철학과 윤리, 정책의 규범적 분석, 공공철학, 글로벌정의, 여성학, 다문화주의 이론과 정책
단행본
-
<편·저서> 2018 『돌봄과 공정』 (공편, 서울: 박영사) 2016 『규범적 정책분석』 (서울: 박영사).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6 『한국의 다문화주의 비판』 (공저, 서울: 도서출판 앨피) (디아스포라 휴머니티 총서2). ‘2017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역서> 2017 『돌봄: 정의의 심장』 (공역, 서울: 박영사). [Daniel Engster, The Heart of Justice: Care Ethics and Political 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017 『돌봄: 돌봄윤리』 (공역, 서울: 박영사). [Virginia Held, The Ethics of Care: Personal, Political, and Global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016 『돌봄: 사랑의 노동』 (공역, 서울: 박영사). [Eva Feder Kittay, Love’s Labor: Essays on Women, Equality and Dependency (New York: Routledge, 1999)]. 2014 『돌봄 민주주의』 (공역, 서울: 아포리아) [Joan C. Tronto,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y, and Justice (New York: NYU Press, 2013)]. 2010 『공동체』 (공역, 서울: A-Books) [Gerald Delanty, Community (London: Routledge, 2003)].
북챕터
-
2018 “케어리즘: 정치이론으로서 돌봄,” 김희강·임현 편, 『돌봄과 공정』 (서울: 박영사) 2017 “Locating Feminism beyond Gender and Culture: A Case of the Korean-head System in South Korea,” in Andrew Eungi Kim (ed.),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 Introduction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2015 “Locating Feminism beyond Gender and Culture: A Case of the Korean-head System in South Korea,” in Sungmoon Kim (ed.), Confucianism, Law, and Politics in South Korea (Rowman & Littlefield International) 2014 “Western Feminism and Korean Feminism,” in Jung In Kang (ed.),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Lanham, Maryland: Lextington Books) 2014 “서구 페미니즘과 한국 페미니즘,” 『한국 현대 정치사상』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2009 “정책과 사회정의 및 규범이론,” 박종민·정무권 편, 『한국행정연구: 도전과 과제』 (서울: 박영사) 2008 “미국 소수자 정치,” 미국정치연구회 편, 『미국 정치와 정부』 (서울: 명인문화사) 2006 “서구 페미니즘 이론의 동향과 쟁점, 글로벌 맥락에서의 한국 페미니즘에 미치는 의미,” 『현대정치학이론의 발전』 (고양: 인간사랑, 2006)
연구논문
-
<학술논문> 2019 “A Caring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Challenges and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 and Caring 3(1) 2018 “돌봄: 헌법적 가치.” 『한국사회정책』 25(2): 3-29. 2018 “돌봄과 돌봄 없는 정치이론.” 『한국정치학회보』 52(2) 2017 “성·유흥산업의 이주여성정책: 국가는 이들을 어떻게 관리하였나?” 『다문화와평화』 : 83-112 (공저: 송형주). 2017 “성·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 국제적 재생산노동분업의 맥락에서.” 『젠더와 문화』 10(1): 45-61 (공저: 송형주). 2016 “Is Long-Term Insurance in South Korea Socialising Care Policy?” Critical Social Policy 36(4): 1-19. 2016 “발전규범으로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Martha Nussbaum의 가능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3): 35-63 (공저: 조이슬). 2016 “돌봄국가: 복지국가의 새로운 지평” 『정부학연구』 22(1): 1-26. 2015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담론201』 18(3): 5-33. 2015 “Feminism, Nationalism, and Beyond: A Note on the Comfort Women Movement,” New Zealand Journal of Asian Studies 17(1) June : 1-20. 2015 “다문화시대의 이민정책: 영주권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행정학보』 49(1): 223-244 (공저: 류지혜). 2015 “롤즈의 ‘인권’과 인도적 개입 정책,” 『담론201』 18(1): 69-100 (공저: 최유진). 2014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Global Gender Injustice,” OUGHTOPIA: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29(2): 5-32. 2014 “환경원조정책에 있어 민주주의의 함의,” 『평화학연구』 15(3): 63-89 (공저: 정보배) 2014 “Revisi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Voting Rights of Overseas Koreas,” Korea Journal 54(1): 5-29 (공저: Hyun Im). 2013 “다문화주의의 역설,” 『담론201』 16(4): 67-95. 2012 “Marriage Mig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A Gender Perspective,” Asian Perspective 36(3), September: 531-563. 2012 “The Comfort Women System and Women’s International Human Rights,” Korea Observer 43(2), Summer: 175-208. 2012 “공정한 임금, 공정한 사회: 비교가치(comparable worth)의 규범적 정당성에 관한 소고,” 『21세기정치학회보』 22(1), 5월: 23-45. 2012 “국제원조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토마스 포기(Thomas Pogge)의 논의를 중심으로,” 『오토피아』 27(1), 5월: 67-99 (공저: 정보배). 2011 “정부의 질과 불편부당성(Impartiality),” 『정부학연구』 17(3), 12월: 3-18. 2010 “돌봄의 공공윤리: 에바 키테이(Eva F. Kittay)이론과 ‘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 『한국정치학회보』 44(4), 12월: 45-72 (공저: 강문선). 2010 “일본군 ‘위안부’문제와 책임성,” 『아세아연구』 53(3), 9월: 79-108. 2010 “공공성, 사회집단, 그리고 심의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보』 44(2), 6월: 5-27. 2010 “Luck and the Gendered Social Structure,” Journal of Women, Politics & Policy 31(1), January -March: 67-92. 2009 “여성인권의 딜레마,” 『한국정치학회보』 43(4), 12월: 99-124. 2009 “Analyz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Cases of the U. S. and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June: 181-229. 2009 “Should Feminism Transcend Nationalism? A Defense of Feminist Nationalism in South Korea,”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32(2), May: 108-119. 2008 “일부다처제는 가부장적인가? 미국 몰몬교의 일부다처 논쟁을 중심으로, 1862-1890,” 『한국정치학회보』 42(3), 9월: 99-120. 2007 “What Should a Good Feminist Theory of Equality Be? A Critique of Ronald Dworkin,”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47(5), December: 59-77. 2007 “2007년 미국 이민법 개정 논쟁: 과정과 함의 그리고 미국의 다원주의,” 『미국학논집』 39(3), 12월: 139-172 (공저: 유성진, 손병권). 2007 “Locating Feminism beyond Culture and Gender: A Case of the Family-head System in South Korea,” Discourse 201 10(1), May: 245-290. 2007 “존 아담스의 Defence에 나타난 미국의 공화주의,” 『한국정치학회보』 41(1), 3월: 211-234. 2006 “Equality as an Evaluation of Social Relations,” Public Affairs Quarterly 20(4), October: 313-328. 2006 “운평등주의에서의 ‘자율’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한국정치학회보』 40(3), 9월: 79-101. 2006 “서구 페미니즘 이론의 동향과 쟁점, 글로벌 맥락에서의 한국 페미니즘에 미치는 의미,” 『21세기정치학회보』 16(2), 9월: 27-50; 『현대정치학이론의 발전』 (고양: 인간사랑, 2006)에서 재출판. 2006 “미국 독립선언문의 사상적 기원과 제퍼슨 공화주의,” 『국제정치논총』 46(2), 6월: 121-144. 2005 “On Liberal Nationalism,”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Policy 19, December: 43-59. <서평> 2017 “우리는 어떤 국가에서 살아야 하는가?” 『돌봄: 정의의 심장』 역자 해제. 2017 “돌봄윤리: 대안의 도덕이론,” 『돌봄: 돌봄윤리』 역자 해제. 2016 “돌봄 패러다임,” 『돌봄: 사랑의 노동』 역자 해제. 2014 “시장에서 돌봄으로,” 『돌봄 민주주의』 역자 해제, pp. 5-13. 2014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민주주의,” Aporia Review of Books Vol. 2, No.1 http://aporia.co.kr/bbs/board.php?bo_table=rpb_community&wr_id=56 2013 “구조적 부정의를 거드는 ‘현명한 소비,’” 『한겨레신문』 6월 30일.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593805.html 2006 “결혼, 정당한 제도인가?” 『국제평화』 3(1), 6월: 23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