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행정학과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English

공공관리 (Public Management)

PUB 602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3]

사기이론, 동기부여, 인력의 수급문제 등을 전반적으로 다룬다.

PUB 603 정보체계론(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PMIS이론을 MIS와의 관련 하에서 도출하고 PMIS의 기획, 설계, 집행의 단계들을 연구한다. 컴퓨터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시스템, 인공지능 등의 개념도 포함시킨다. 정보화 사회의 특징, 전산감사, 세계 각국의 정보화 정책에 관한 논의도 포함된다.

PUB 606 공공관리론(Public Management) [3]

행정학의 한 접근방법으로서 공공관리론의 의의를 논의한다. 공공행정의 특징적 환경을 정치적, 조직적, 그리고 개인적 수준에서 고찰하고, 행정개선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PUB 610 조직경제학(Economics of Organization) [3]

조직의 경제적 측면과 제도경제학을 주로 연구한다. 도덕적 위해와 상반된 선택을 포함한 위임자대리인이론, 위험과 불확실성, 거래비용경제학, 신호이론, 정보의 비대칭 등에 대해 소개한다.

PUB 614 예산과 회계(Budgeting and Accounting) [3]

기업회계와 공공부문 회계원칙에 대한 기초내용을 소개한다. 회계정보, 재무보고 그리고 회계작동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기업과 공공부문 예산을 분석하는 기본체계를 다룬다. 성과평가, 예산과 관리의 관계, 예산개혁, 기타 다양한 예산 쟁점들을 연구한다.

PUB 615 도시관리(Urban Management) [3]

도시에서 나타나는 공공적 문제의 원인과 처방에 관한 행정학적 논의를 탐구한다. 도시공공서비스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조직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관계, 도시경제개발, 도시재정 등의 주제를 다룬다. 아울러 교통, 토지, 주택 등의 도시문제를 둘러싼 기획과 정치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PUB 616 전자정부론(Theories of e-Government)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에 관련된 이슈를 조직 그리고 국가수준에서 논구한다. 특히 정보화가 정부의 조직 및 행태 변화에 지니는 함의 그리고 정부조직의 가치달성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기위한 전략적 도구로서 정보화를 고찰한다.

PUB 617 지방재정(Local Public Finance) [3]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공급, 보조금 및 교부세 등의 정부지원금을 중심으로 한 정부 간 재정자원의 분배, 재정제도, 지방정부의 세입변동, 지방채 등 지방정부 내부 및 지방정부 간 재정운용에 관한 내용을 논의한다.

PUB 618 기획과 관리 세미나Ⅰ(Seminar in Project ManagementⅠ) [3]

사회활동 과정에서 자주 당면하게 되는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한 기본적이고 실무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참여자로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문제정의, 자료수집, 인터뷰 및 의사소통,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 훈련 및 보고서 작성 방법 등과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목표설정, 자원 및 일정관리, 변화관리 등의 방법 등을 실제 사례와 함께 검토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PUB 631 조직관리론(Organization and Management)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조직이 주어진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조직화 방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세미나형식으로 논의한다.

PUB 632 조직과 혁신(Organization and Innovation) [3]

조직을 변화시키는데 있어 혁신이 갖는 의미와 내용을 탐구한다. 특히 조직의 구조적, 행태적, 환경적 측면에서 어떻게 조직이 개혁하고 혁신해 나가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PUB 633 공공부문의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3]

성과관리는 공공관리연구의 최신분야로 각광을 받아왔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주의는 필요하지만,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왜냐하면 성과관련 데이터를 생산, 집적, 분석하고 이로부터 생산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올바른 정책결정과 집행 및 평가 그리고 관리자로서 여타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인 요건이기 때문이다. 본 세미나의 주 교육목표는 성과관리가 공공부문에서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성과관리의 다양한 도구들의 장단점을 분석하며, 성과관리가 조직의 다른 이슈들에 끼치는 여향을 이해하고, 성과관리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데 필요한 조직 내적, 외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다.

PUB 634 협업적 공공관리(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한 조직의 범위를 넘어서는 조직 간 그리고 섹터간의 협업에 대한 정부의 의존이 증가함에 따라, 협업적 공공관리를 설계하고, 관리하며, 평가하는 것은 이제 공공관리자의 주요한 업무가 되고 있다.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협업적 공공관리에 대한 연구는 권위와 통제에 기반했던 기존의 공공관리의 범주를 넘어서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탐색해 왔다. 이 과목에서 우리는 공공서비스를 전달하는 대안적 방식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소개하며, 더불어 협업적 방식을 도입하고 관리하는데 새로운 도전이 무엇인지, 그리고 변화해가는 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토론한다.

PUB 635 네트워크이론(Network Theory) [3] *<방법론>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본수업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어떻게 네트워크이론과 개념들이 공공부문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본 수업은 또한 공공부문의 네트워크 조직형태가 어떻게 형성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더 나아가 네트워크조직의 효과성 등을 논의한다.

PUB 636 공공조직행동론(Public Organizational Behavior) [3]

공공조직 특히 정부조직에서의 개인의 조직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본 과목은 개인 성과변수와 동기부여와 관련된 개인수준의 주제뿐 아니라, 문화나 리더십 등의 그룹레벨의 연구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전통적 조직행동론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그러나 사조직과 공조직에서의 행태적 특성을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 조직 관리에 필요한 이론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경영학의 조직행동론과 차별성을 가진다.

PUB 637 디지털 전환시대의 협업적 공공관리(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3]

협업적 공공관리는 공공조직, 민간기업, 비영리조직 및 개별 시민들이 공공의 문제해결에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전통적 관료조직이나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여 공공의 난제를 해결하며 풍요로운 공공의 삶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목은 협업이 대안적 관리 모형으로서 등장하게 된 배경과 협업적 공공관리의 일반적인 주제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가 초래하는 정책 과제를 협업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정책수단에 대해서 토론한다.

PUB 641 공공관리특강 I(Special Topics in Public Management I) [3]

공공관리 영역 중 특정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 수업에 서 우리는 도식계획의 기본 개념, 아이디어 및 맥락을 학습한다. 도시계획의 물리 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더 넓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적 차원뿐 만 아니라 지리적 및 건축적 차원에서 도시계획을 바라본다.

PUB 645 도시계획과 정책 (Urban Planning and Polic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공공정책의 분석적 관점에서 도시 경향을 분석하고 도시에서 나타나는 공공적 문제의 원인과 정책적 처방에 관한 행정학적 관점을 제공한다. 

PUB 642 공공관리특강 II(Special Topics in Public Management II) [3]

PUB 642 공공관리특강 II(Special Topics in Public Management II) [3]

PUB 644 공공관리특강 IV(Special Topics in Public Management IV) [3]

PUB 699 인공지능기반 행정과 정책(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Using A.I.) [3] 

Chat GPT 등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공공행정과 정책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일반목적기술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장점과 함께 데이터 보호, 감시정부, 가짜뉴스 알고리즘 편향성 등 다양한 부작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Business Model Canvas를 이용하여 공공행정과 정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기획․디자인 해 봄으로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행정․정책 고도화에 대해 실습한다.

거버넌스와 제도 (Governance and Institutions)

PUB 509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3]

공공부문에서의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주제를 소개한다. 개별합리성, 집단합리성, 투표모순, 투표행위, 다단계의사결정, 의제선택, 투표거래, 지대추구, 기타 전통적인 공공선택이론주제를 설명한다.

PUB 551 한국행정론(Korean Government) [3]

한국행정의 성격을 탐색하고 이론적 모형을 통해 한국의 행정현실을 분석하며 한국행정의 이론화에 역점을 둔다.

PUB 555 법과 정책(Law and Public Polic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법과 정책결정간의 상호관계를 다루고 정책을 해석하고 집행하는데 있어서의 법의 역할을 논한다.

PUB 557 정책과 제도(Policy and Institution) [3]

정책분석을 행위보다는 제도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행위와 제도의 접근의 차이와 이론적 융합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신제도주의의 접근으로 정책을 분석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론적 방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각국의 제도적 특성에 따른 정책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네트워크 이론, 정부와 기업의 관계 등의 구체적 내용을 신제도주의 이론에서 접근한다.

PUB 558 지방자치론(Local Autonomy and Local Administration) [3] *<공공관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분권화의 정치경제, 중앙과 지방 간의 기능배분, 정부 간 관계의 모형, 정부 간 관계와 정책, 지방정치와 지방행정의 개선, 지방정부의 재정문제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PUB 560 행정행태론(Administrative Behavior) [3]

정부조직의 행태와 관련된 주요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행태 개혁과 관련한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탐색한다.

PUB 568 대통령과 정책(Presidential Leadership and Public Policy) [3]

대통령을 중심으로 그의 국정이념, 보좌조직행태, 그리고 행정조직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나아가 대통령의 통치 행태를 분석한다. 특히 국가주요정책결정과정에서 변화되어온 대통령의 역할 및 지도력, 그리고 이를 통한 대통령의 행태변화에 중점을 둔다.

PUB 581 시민사회와 민주주의(Civil Society and Democrac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시민사회론의 행정학 및 정책학적 함의를 민주화, 거버넌스, 사회자본, 정책 참여 등 다양한 주제들과의 관련 하에 살펴본다. 민주주의 하 시민사회-정부관계를 비교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 시민사회와 정부 간에 수립, 발전되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PUB 583 제도와 국정운영(Political Institutions and Presidential Governance) [3]

정치적 및 제도적 기관들과 대통령의 국정운영 관계 아래서 대통령의 통치 행태를 분석한다. 특히 정책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통령의 지도력과 의회, 정당, 언론, 관료 등과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PUB 584 민주주의와 행정(Democracy and Public Administration) [3]

민주주의와 관료제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개괄하고 그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최근의 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론 등이 민주주의와 행정 간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논의들의 이론적․실증적․정책적 시사점을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PUB 585 아시아 정부와 시장(Asian Government and Market) [3]

아시아 경제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 국가들의 정부가 경제발전 과정에서의 역할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정부 시장간 관계 변화를 이해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둔다.

PUB 587 공공철학(Public Philosoph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이 과목은 공공부문의 법, 제도, 정책을 이해하는데 있어 근간을 이루는 사상과 이론을 다룬다. 공공철학은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민주주의, 사회정의론, 다원주의 등의 다양한 사조를 폭넓게 포함한다. 이러한 사조에 관한 철학적인 논의와 더불어, 이들 논의 속에서 구체화된 규범적 가치(권리, 자유, 공평, 공공선, 평등 등)에 대한 분석도 함께 진행한다. 사상가의 원전을 통해서 얻는 이론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현재 논쟁 중인 공공의 이슈를 실재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유의미한 분석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UB 588 글로벌정의(Global Justice)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글로벌화의 영향으로 일국 중심의 정의론적 사고로는 설명되거나 해결될 수 없는 많은 사안들이 생겨났다. 본 수업의 목적은 일국 중심의 정의론적 사고를 넘어서서 글로벌 맥락에서의 이해될 수 있는 정의론의 기초와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수업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첫째, 글로벌 정의에 관한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논의를 탐색한다. 예로써, 현실주의,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해동포주의 등의 글로벌 정의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Thomas Pogge, John Rawls, David Miller, Martha Nussbaum 등의 글을 통해서 살펴본다. 둘째,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글로벌 정의에 관한 현상과 이슈들을 분석한다. 예로써, 글로벌 민주주의, 글로벌 빈곤과 경제 불평등, 인권, 글로벌 이주 등의 문제를 논의해 본다.

PUB 589 복지체제론(Social Progress and Welfare Regimes) [3]

본 수업은 사회의 발전과 복지체제 그리고 이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회정책에 대한 대안적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서구와 동아시아 맥락에 적용시켜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수업은 다음의 세 가지 점을 살펴보는 데에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관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1) 사회정책과 발전의 목적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검토할 것이며, 2) 인간의 복지발전에 경제 및 사회제도들의 기여와 상호작용을 살펴볼 것이며, 마지막으로 3) 복지체제의 개념과 이론 그리고 적용을 하게 될 것이다.

PUB 590 고급복지체제론(Advanced Theory of Welfare Regimes) [3]

본 수업은 복지정책이나 복지국가 관련 기초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화된 복지체제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이론들을 활용 및 적용하여 직접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업의 첫 부분에서는 복지정책과 복지국가에 관한 기초이론이나 논의들을 검토하게 될 것이며, 동시에 학생 개개인의 연구 프로포절을 발전시키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그 이후에는 복지체제 변화를 설명하는데 주요한 고급이론이나 논의를 차례대로 검토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일대일 학습을 통하여 자신의 연구논문을 지속적으로 완성시켜나갈 수 있도록 안내될 것이다.

PUB 591 통치제도 및 과정특강 I(Special Topics in Governing Institutions and Processes I)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의 특정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PUB 592 통치제도 및 과정특강 II(Special Topics in Governing Institutions and Processes II) [3]

PUB 593 통치제도 및 과정특강 III(Special Topics in Governing Institutions and Processes III) [3]

PUB 594 통치제도 및 과정특강 IV(Special Topics in Governing Institutions and Processes IV) [3]

PUB 596 부패와 거버넌스(Corruption and Governance) [3]

부패가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을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부패가 어떻게 정책을 왜곡하고, 정치행정체제의 안정과 신뢰를 약화시키며, 경제발전과 사회통합에 얼마만큼 걸림돌이 되는지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부패척결과 부패방지를 위한 전략적 방법을 모색하고, 좋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국내외의 노력과 문제점을 논의한다.

PUB 605 행정이론사(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3]

행정학의 발달과 함께 논의된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이론들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이론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행정이론들 중에서 미시적인 이론접근뿐 아니라 거시적인 접근을 포함하여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시기적으로는 윌슨의 초기 행정이론에서 부터 신행정학 및 행정학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까지도 포함한다.

PUB 717 과학기술과 규제법(Science Technology and regulatory law)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헌법과 행정법의 대응과 변화, 규제입법의 특성과 자율규제 및 규제 거버넌스의 특성을 이해하고, 중요 과학기술 규제 분야의 법적 쟁점과 관련 논의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규제정책과 입법을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이 강의의 목표로 한다.

정책연구 (Policy Studies)

PUB 701 정책이론(Theories of Policy Studies) [3]

정책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구축하고, 더 합리적인 정책결정방안에 대한 토론을 전개한다.

PUB 703 정부와 기업(Government and Business) [3]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사이의 경계선에 관한 이론을 탐구한다. 시장실패, 정부실패 등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공공부문에서의 의사결정을 미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PUB 704 산업사회의 안전정책(Risk and Safety Policy in Industrial Society) [3]

산업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위험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을 통제하기 위한 안전정책의 방안과 제도적 장치를 검토한다. 그리고 그들이 한국사회에 적용될 때의 여러 가지 제약조건들과 고유한 특징을 논의한다.

PUB 705 문화정책(Cultural Policy) [3]

문화정책의 관점에서 정책의 기본개념과 정책과정을 소개한다. 문화정책의 행위자, 제도, 정책도구를 연구하며, 문화경제학과 문화산업을 창조산업의 시각에서 배경과 변수를 설명한다.

PUB 706 산업 및 과학기술정책(Industrial Technology Policy) [3]

기술개발에 있어서 정부의 정책개입의 논거와 구체적인 정책수단의 내용과 그 효과성에 대하여 탐구한다. 특히 산업기술의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의 효과성을 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PUB 708 환경 및 자원정책(Resources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olicies) [3]

자원문제에 관한 미래학적 시각을 정립하고 자원문제의 본질을 자원경제학과 행정학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환경문제를 에너지 및 자원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환경과학, 환경규제, 환경철학 등이 포함된다.

PUB 709 정책분석(Policy Analysis) [3]

정책대안의 귀결을 예측하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다. 그리고 정책분석이용의 특성을 논구하고 정책분석의 개선가능성을 탐구한다.

PUB 710 복지정책(Welfare Policy) [3]

빈곤, 배분적 정의, 사회복지 등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복지공급과 관련된 정부의 활동을 공공 정책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아울러 복지국가의 등장과 변천과정을 논의한다.

PUB 711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 [3]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정치와 관련하여 경제 및 산업정책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특히 정부활동을 정책결정과정으로 인식하여 이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한다.

PUB 713 비교행정과 정책(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cy)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비교행정 및 정책의 관점에서 구미 선진 자본주의 및 민주주의 국가의 정부구조, 행정체계, 정책과정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한국행정과 정책에 시사하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비교정책연구에 있어 중요한 이론 틀인 역사제도주의와 비교역사학적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PUB 714 정책과 제도의 문화적 분석(Cultural Analysis of Public Policy and Institutions) [3]

정책선호와 제도선택의 설명도구로서 문화 개념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정책, 위험과 기술, 환경, 조직관리, 리더십, 이념, 민주주의 등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시도하여 문화이론의 개발을 모색한다.

PUB 715 아시아 정부개혁론(Asia Government Reform in Asia) [3]

최근 정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서구 유럽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작은 정부, 규제개혁 등을 통한 효율적인 정부의 구조개혁이 아시아 각국에서도 추진되고 있다. 이 세미나에서는 주로 한국과 일본의 정부개혁에 대해 분석하며, 아시아 각국의 정부개혁의 특성, 효과, 한계 및 전망에 대해 분석한다.

PUB 716 정책과 갈등(Conflict Resolution in Policy Processes) [3]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간의 갈등양상을 이해하고 정책결정과정에 서의 갈등해소방안을 검토한다.

PUB 720 정책평가(Policy Evaluation) [3] *<방법론>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정책오차의 수정이라는 측면에서 정책결과를 확인하고 개선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연구한다.

PUB 723 아시아 비교정책론(Asia Comparative Policy Study) [3]

최근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을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정부 정책 비교를 통해,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정부 역할을 검토한다. 특히 지식기반경제와 신산업 및 지역 정책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근거해서 한국과 싱가포르에서의 정부 정책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발전국가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과 싱가포르가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어떠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PUB 724 공공경제학(Public Sector Economics) [3]

공공부문의 관리 및 정책문제를 공부하는 행정학도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공공부문에 대한 경제학적 기초를 다룬다. 공공부문의 중요성을 시장실패와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고 공공재와 외부효과와 같이 시장실패가 일어나는 영역을 경제학의 기본 틀을 통하여 분석한다.

PUB 725 기술과 지역개발(Technology and regional development) [3]

기술은 도시와 지역성장의 핵심 요인이다. 마천루와 자동차로 상징되는 19-20세기의 건축기술과 교통기술은 현대적 도시의 발달과 공간구조의 형성으로 이어졌고, 20세기 후반 등장한 정보통신기술은 디지털 혁명으로 불릴만한 변화를 지역의 혁신을 중심으로 가져왔다. 본 과목은 기술과 혁신이 어떻게 도시와 지역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성장의 엔진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 및 지역정책에 대한 함의를 논한다.

PUB 726 미국정부와 정책(American Government) [3]

미국의 정치와 행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미국 정부의 성립과 역사적 배경, 헌법구조와 특징, 정치문화의 특성 등을 살펴본다. 그리고 미국의 주요 정치과정을 분석하며, 정치과정을 제도적으로 특정지우고 있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상호견제기능과 역할을 살펴본다.PUB 727 지역개발론(Theories of Regional Development) [3]

PUB 727 지역개발론(Theories of Regional Development) [3]

기술혁신과 경제발전의 단위로서 지역이 지니는 의미에 주목한다. 기술적 변화, 기술에 기초한 경제발전, 지역혁신 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고찰한다. 지역발전과 관련된 정책변수와 제약조건을 중앙과 지방정부 수준에서 탐구한다.

PUB 728 비교지역개발론(Comparative Regional Development)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지역개발과 관련된 기본적인 이론들을 탐구하고 지역개발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역할을 고찰한다. 특히, 한국, 중국, 싱가폴,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들의 지역개발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지역개발이론이 실제로 각국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본다.

PUB 729 세계화와 지역정책(Globalization and Regional Policy)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세계화 시대에 초국적 기업과 국가와의 관계, 그리고 경제의 세계화와 지역발전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이론과 정책 등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정책을 논함으로써 한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왔던 지역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글로벌한 경제적 재구조화의 시기에 초국적 기업의 활동과 지역발전과는 어떠한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PUB 730 의회와 정책(Legislative Institutions and Public Policy) [3]

이 대학원 세미나는 입법기관이 관료조직과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양태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입법결정과정에서 입법기관 내부행위자들을 상호작용, 관료조직에 대한 입법적 통제, 입법-행정부 관계의 정책적 결과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입법영역 내부뿐만 아니라 입법기관과 다른 정책행위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정책형성 및 변동의 역학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PUB 732 인구변화와 정책변동(Demographic changes and policy reforms) [3]

본 수업은 급격한 노령화를 중심으로 한 인구변화와 이에 대한 정책변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대수명의 증가와 급속한 출산율의 저하는 인구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노동시장과 가족구조의 변화와 맞물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정책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노인들의 경제적 삶의 안정과 케어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서 연금제도 및 케어를 위한 정책들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노령노동자들을 위한 노동시장정책이나 출산율 장려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확대되게 되었다. 본 수업에는 인구변화가 정책에 주는 영향과 함의를 살펴보고, 인구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 옵션들을 분석하고 토론한다.

PUB 733 국제행정과 대외정책(Supranational Governance and Foreign Policy )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점증하는 세계화․국제화 추세 속에 초국가적 차원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행정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회정책을 구상․기획해 본다. 지역적․전 지구적 차원의 여러 가지 제도 및 정책의 기원, 발전과정, 운용방식, 변동양태 등을 분석하고 초국가적 현안들이 어떠한 협력․조정 기제를 통해 해결․관리되는지 이론적․실증적으로 고찰한다. 급변하는 대외정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적․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지 논의한다.

PUB 734 다문화주의: 이론과 정책(Multiculturalism: Theory and Policy) [3]

이 수업은 최근에 학계에서 자주 논의되는 다문화주의에 관해 심도 있게 분석하여 그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살펴본다. 본 수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다문화주의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논쟁을 탐구한다. 둘째, 국내외의 다문화주의와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다문화주의의 실천적 적용의 가능성을 탐지하고 정책적 함의를 찾아본다.

PUB 735 정책형성과 집행(Policy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3]

공공정책과정에 대한 통합적 시각에서 사회적 이슈들이 정책아젠다로 변환되는 과정과 결정된 정책들이 실현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영역의 특성, 집단, 제도 등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정책형성과 집행과정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PUB 736 환경정책세미나(Seminar on Environmental Policy) [3]

환경정책은 과학, 문화, 정치, 경제학적 요소들의 복잡체이다. 따라서 정부, 시민사회, 시장은 정책의 형성과 집행에 기여할 각자의 역할과 의무가 있다. 본 과목은 다양한 집단들이 상호교류를 통해 환경문제를 정의하고 목표를 수립,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수강생들은 환경문제가 지속되는 이유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된 정책도구의 장/단점, 규제제도의 진화과정 및 효율성을 비판적 시각에서 토론한다.

PUB737 공공정책과 사회변화(Public Policies and Social Change) [3]

과목은 주요 정책 영역에서의 구체적 사례들의 평가를 통해, 공공정책의 이상적 역할과 그의 실현 방안에 대한 이론들을 검토한다. 공공정책은 1) 공리주의에 입각, 가치로부터 독립된 개인 선호의 총합을 공익으로 규정, 추구하는 도구적 성격과 2) 민주적 숙의, 대중의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규범적 성격을 갖는다. 학생들은 이상적 공공정책에 대한 다양한 지적 전통과 그에 내재된 장단점들을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보다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원칙들에 대해 토론한다.

PUB738 (신)지역개발론(New Regional Development) [3]

이 수업은 지역개발의 주요 이슈들과 원인과 결과들을 정책개발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지역발전과 지역정책에 대한 균형적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디지털 전환, 세계화 및 기후 위기가 지역개발 이론과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수업에서는 (1) AI, 빅데이타 등의 디지털 기술의 진전, (2) 기술패권에 따른 생산공급망의 변화, (3) 환경 및 기후 위기가 기존의 지역개발 방식과 이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새로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개발 전략과 대안을 제시한다. 

PUB739 행정과 법제도(Public administration and legal system) [3] *<거버넌스와 제도> 영역과 중복 인정 가

이 강의의 목적은 행정과 이의 집행을 근거짓는 법제도의 관계에 대해 분석․검토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법제도의 형성을 위한 입법론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 강의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현대행정국가에 있어 행정과 법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행정에 대한 주요 법이론에 대해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행정에 관한 법제도들을 법정책학적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행정목적 실현을 위한 바람직한 입법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PUB 741 정책연구특강 I(Special Topics in Policy Studies I) [3]

정책연구 영역 중 특정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PUB 742 정책연구특강 II(Special Topics in Policy Studies II) [3]

PUB 743 정책연구특강 III(Special Topics in Policy Studies III) [3]

PUB 744 정책연구특강 IV(Special Topics in Policy Studies IV) [3]

PUB 795 행복과 정책 (Happiness and Policy) [3]

본 과목은 현실 세계의 경제사회적 담론에서 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행복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폭넓게 다룬다. 본 과목의 목적은 행복의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측정, 결정요인 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읽고 행복이 정책담론에서 가지는 함의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다.

방법론 (Methodology)

PUB 501 기초행정통계 (구. 행정계량분석 I) [3] **2023년 1학기부터 명칭 변경

이 과목은 사회과학 전공 대학원 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필요한 통계분석기법을 배운다. 이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한 사회과학 분야의 논문들을 이해하고 비평할 수 있으며, 본인이 논문을 쓸 때 자신이 배운 통계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UB 502 다변량행정통계 (구. 행정계량분석 II) [3] **2023년 1학기부터 명칭 변경

PUB 501의 연속으로 다중회귀분석 및 연립방정식모형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특히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그 가정들의 불충족에 따라 나타나는 Serial Correlation, Heteroscadasticity 등의 해결책, 나아가 Pooled Cross-Section Time-Series 분석 등을 포함한다.

PUB 503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3]

사회과학에서 사용되는 연구방법을 개관하며 가설구성과 검증, 연구 설계,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 분석의 논리를 다룬다.

PUB 504 관리분석(Applied Management Science) [3]

L.P, Queueing, PERT, Markov Model 등 OR기법과 시뮬레이션 및 통계적 결정이론 등, 행정 및 정책분야의 구체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기법을 소개한다.

PUB 508 정책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구. 행정계량분석 III) [3] **2023년 1학기부터 명칭 변경

최근 몇 년 동안 데이터 과학의 급격히 발전했다.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점점 쉬워지고 있다. 민간 기업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머신러닝을 적극 도입했고,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의 본질은 공공 행정에서 데이터의 효과적인 사용에 있다. 이 수업에서는 데이터 관리와 관련된 기본 기술 및 기계 학습 기법 입문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PUB 510 정성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s) [3]

실증주의 방법론을 대신해서 행정학 연구에 있어서 정성적 연구방법의 필요성과 의의를 소개하고 정성적 연구방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정성적 방법에 대한 개념, 방법론과 인식론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정성적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들인 참여관찰, 심층면접, 초점집단 연구, 실행연구, 민속지학, 상황주의방법 등을 깊이 있게 살펴본다. 또한 정성적 연구 방법과 관련한 중요한 윤리적, 실용적 쟁점들을 고찰한다.

PUB 511 사회정책분석(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Polic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계량적 정책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사회보험, 공적부조, 교육, 의료, 주택, 보육 등 다양한 사회정책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계량적 정책분석에 필요한 통계기법과 기초적인 미시경제 지식을 습득한 후, 이를 적용하여 실제 정책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이 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학부 통계학개론 및 경제원론 수준의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PUB 512 논문작성세미나(The Heuristics of Thesis Preparation) [3]

구 질문의 학문적 가치를 평정하고 쓸 만한 가설을 작성하거나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습득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연구보고서를 작성하여 연구 저널에 게재하거나 학위논문을 심사받는 일련의 과정 등 논문작성에 있어서 필요한 요령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이 과목은 학문적 체계성보다는 실제적 논문작성상황에 마주치는 문제들을 극복하거나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경험과 요령을 전수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PUB 513 게임이론(Game Theory) [3]

상호작용적인 의사결정 상황을 모형화하는 수학적인 도구로서의 기초적인 게임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제도분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주로 비협동적 게임이론에 입각한 모형들과 해개념 (Solution Concept)을 학습한다.

PUB 514 정책의 규범적 이해(Normative Analysis of Public Policy)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수업의 목적은 규범적인 관점에서 공공정책을 분석, 이해하는데 있다. 개인의 자유, 권리. 평등, 공공선 등의 규범적 가치 기준을 근거로 공공정책을 평가, 분석,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효율성과 합리성을 기준으로 하는 정량적인 정책분석과는 성격을 다소 달리한다. 다음과 같은 주제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여성, 장애자, 다문화가정, 노령인구, 성적소수자 등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와 사회적 소수자와 관련된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여성정책, 다문화주의정책, 장애자정책 등에는 어떤 규범적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규범적 기준에 근거한 정책은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PUB 515 비교방법론(Comparative research methods) [3]

본 수업의 목적은 비교행정론 혹은 비교정책론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요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검토하고 그리고 평가하는 데에 있다. 주요 비교방법론으로는 양적연구방법/변수중심방법, 질적연구방법/사례중심방법, 그리고 중간사례 수 연구에 유용한 퍼지셋 분석이 논의가 된다. 수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첫째는 비교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기본적인 원칙들을 검토한다. 둘째는 주요 비교방법의 기술들을 배우면서, 각각의 유용성을 논의하고, 학생들이 이러한 방법론을 실제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는 이러한 지식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기존의 주요 비교연구들을 비평하고 토론한다.

PUB 517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method) [3]

이 과목은 행정 및 정책 현상을 이해하는 주된 방법론인 사례연구를 소개하고,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실제로 하나의 사례를 선정하여 한 학기 동안 집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연구는 경험 자료를 토대로 하기 때문에 자료를 귀납적으로 만들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행정과 정책 분야에서 이루어진 사례연구는 상당 부분 양적 연구처럼 연역적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글쓰기 과정에서 사례연구가 갖는 설득력을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례연구는 질적 연구의 갈래가 여러 가지인 것처럼 방법론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가 가능하다. 이 강의에서는 실제의 글쓰기 체험을 통해 행정학과 정책학 분야에서 사례연구가 왜 중요한지, 방법론적 전통에 따라 자료 수집과 분석의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공공분야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때 어떠한 제약조건들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볼 것이다.

PUB 519 정책분석을 위한 기초프로그래밍(Programming for Policy Informatics) [3]

본 교과목은 정책분석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제공한다. 우선적으로 조건문과 반복문, 함수, 자료구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파일 처리, 모듈과 패키지 등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용량 행정 데이터를 수집, 전처리, 분석 및 시각화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PUB 520 데이터 분석과 공공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 Making in the Public Sector) [3]

학생들은 본 교과목을 통해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학습한다. 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수학적 세부 사항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다양한 방법론의 기본 개념과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실습을 통해 이를 실제로 활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UB 523 정책정보학(Policy Informatics)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본 교과목은 정책 정보학 분야의 주요 방법론과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시뮬레이션, 최적화, 네트워크 분석 등 정책 정보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주요 방법론의 개념과 정책 수명 주기 상에서의 활용 방안을 논의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정책 정보학 분야의 연구 기회를 발굴하고 문제 해결에 적합한 방법론을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것으로 기대한다.

PUB 541 방법론 및 경제분석특강 I(Special Topics in Methodology and Economic Analysis I) [3]

방법론 및 경제분석 영역의 특정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PUB 542 방법론 및 경제분석특강 II(Special Topics in Methodology and Economic Analysis II) [3]

PUB 543 방법론 및 경제분석특강 III(Special Topics in Methodology and Economic Analysis III) [3]

PUB 544 방법론 및 경제분석특강 IV(Special Topics in Methodology and Economic Analysis IV) [3]

PUB 545 행정학 개별연구Ⅰ(Individual Reading and ResearchⅠ) [3]

PUB 546 행정학 개별연구Ⅱ(Individual Reading and ResearchⅡ) [3]

PUB 719 데이터 기반 정책평가(Data-driven Policy evaluation) [3] *<정책연구> 영역과 중복 인정 가능

이 과목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일반대학원 학생들에게 진실험설계와 준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인과적 정책효과를 분석하게 하는 능력을 기르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기 초에는 기본적인 회귀분석에 대해서 학습하고 인과적 정책효과분석에 있어서 해당 분석의 한계에 대해서 공부한다. 다음으로 무작위실험설계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론으로 자연실험과 준실험설계를 이용한 인과적 정책평가방법들이 어떻게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는지 학습한다. 세부적으로 도구변수방법론, 불연속회귀방법론, 이중차분법 등을 학습하며 이를 실제 정책평가에 활용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